새버스의 극장 : 필립 로스 장편소설
새버스의 극장 : 필립 로스 장편소설
  • 저자 : 필립 로스 지음 ; 정영목 옮김
  • 출판사 : 문학동네
  • 발행일 : 2020년
  • 청구기호 : 843.5-로57ㅅ
  • ISBN : 9788954675789
  • 자료실명 : [중앙]통합자료실
필립 로스미국 현대문학의 거장으로 일컬어지는 작가. 저명한 문학평론가 해럴드 블룸은 필립 로스를 코맥 매카시, 토머스 핀천, 돈 드릴로와 함께 ‘미국 현대문학의 4대 작가’로 꼽은 바 있다. 필립 로스는 1933년 미국 뉴저지의 폴란드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시카고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뒤, 졸업 후 이곳에서 문예창작을 가르쳤다. 이후 아이오와와 프린스턴,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지속적으로 학생들을 가르치며 창작 활동을 계속했다.

1959년 유대인의 풍속을 묘사한 단편집 『안녕 콜럼버스』를 발표하며 데뷔한 로스는 이듬해 이 작품으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후 1969년 어느 변호사의 성생활을 고백한 『포트노이 씨의 불만』을 발표하며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성공을 동시에 거둔다. 필립 로스는 1998년 『미국의 목가』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그해 백악관에서 수여하는 문화예술훈장(National Medal of Art)을 받았고, 2002년에는 존 도스 파소스, 윌리엄 포크너, 솔 벨로 등의 작가가 수상한 바 있는, 미국 문학예술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에서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상인 골드 메달을 받았다. 필립 로스는 전미도서상과 전미비평가협회상을 각각 두 번, 펜/포크너 상을 세 번 수상했다. 2005년에는 “2003~2004년 미국을 테마로 한 뛰어난 역사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미국을 노린 음모 The Plot Against America』로 미국 역사가협회상을 수상했다.

또한 최근에는 펜(PEN) 상 중 가장 명망 있는 두 개의 상을 수상했다. 2006년에는 “불멸의 독창성과 뛰어난 솜씨를 지닌 작가”에게 수여되는 펜/나보코프 상을 받았고, 2007년에는 “지속적인 작업과 한결같은 성취로 미국 문학계에 큰 족적을 남긴” 작가에게 수여되는 펜/솔 벨로 상을 받았다. 로스는 미국의 생존 작가 중 유일하게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Library of America, 미국 문학의 고전을 펴내는 비영리 출판사)에서 완전 결정판(총 9권)을 출간한 작가다.

[예스24 제공]

책소개

미국 현대문학의 거장 필립 로스가
익살과 역설, 외설로 그려낸 죽음 그리고 생명력!
필립 로스가 가장 아끼는 작품
1995 전미도서상 수상 | 1996 퓰리처상 최종후보

미국 현대문학의 거장 필립 로스의 장편소설 『새버스의 극장』이 출간됐다. 필립 로스가 『미국의 목가』와 더불어 자신이 가장 아끼는 작품이라고 밝힌 바 있는 이 소설은 1995년 전미도서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어, 데뷔작 『굿바이, 콜럼버스』 이후 필립 로스에게 두번째 전미도서상 수상의 영예를 안겼고, 이듬해 퓰리처상 최종후보에 올랐다. 이 책의 주인공 새버스는 죽음과 생명이 있는 그대로 외설적으로 드러나는 듯한 인물, 평범한 삶을 규정하는 어떤 범주로도 포착할 수 없을 것 같은 인물로, 소설은 새버스가 스스로 죽을 자리와 묻힐 자리를 찾는 과정을 그린다.

이 책을 쓸 때 가장 자유로웠다. 그것이 바로 소설가로서 작품을 쓸 때 기대하는 것이다. 작가 자신의 자유를 추구하는 것. 거리낌과 속박에서 벗어나 기억과 경험과 삶의 저 깊은 곳까지 파고들어 독자를 설득할 이야기를 찾아내는 것. 필립 로스

오십대에 심장에 문제가 생기며 죽음의 압박을 받던 필립 로스는 육십대에 접어들어 건강을 회복한 후 왕성하게 소설 집필에 매달렸고, 그 창조적인 시기 초반의 결과물이 바로 『새버스의 극장』이다. 그래서인지 죽음을 이야기하면서도 소설에는 오히려 압도적인 생명력이 가득하고, 어떤 속박에서 벗어난 듯 자유로움과 강렬한 에너지가 흘러넘친다. 필립 로스가 만들어낸 “가장 훌륭하고 격렬한 창조물”(〈피플〉) 미키 새버스는 독자에게 충격과 유쾌함과 불편함을 동시에 선사하고, 그렇게 필립 로스는 다시 한번, 엄청난 기량과 예술적 기교로 거장의 솜씨를 발휘하며 “놀랄 만한 문학적 성과의 정점에 선 작품”(〈퍼블리셔스 위클리〉)을 선보인다.

맨해튼 ‘외설 극장’의 전직 인형극 광대 미키 새버스.
관습 밖에서 쾌락에 탐닉해온 호색한,
무자비한 적대자, 실패하는 일에도 실패한 자,
그의 삶은 무엇으로부터의 기나긴 도주인가?

64세의 전직 인형극 광대 미키 새버스. 그는 평생 쾌락과 욕망에 충실하며 “에로틱한 만취 상태”로 살아왔다. 십대 시절 형이 2차대전에서 전사하고 어머니가 정신을 놓은 이후 뱃사람이 되어 전 세계를 떠돌며 창녀와 매음굴, 인간에게 알려진 온갖 종류의 섹스를 경험했다. 그후 로마에서 인형극을 공부하고 뉴욕으로 와 길거리 ‘외설 극장’에서 손가락 인형으로 쇼를 하고 지하극단에서 연극을 연출하며 배우인 아내 니키를 만난다. 하지만 어느 날 니키는 새버스를 떠나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리고, 니키를 찾아 헤매다 자신이 미쳐간다고 느낀 새버스는 당시 바람을 피우고 있던 로즈애나와 함께 뉴잉글랜드의 시골 마을 매더매스카폴스로 이사한다.
관절염 때문에 인형극 광대로서의 커리어도 끝나고, 마흔 살 어린 학생과의 섹스 스캔들로 수모를 당한 후 지역 대학에서 진행하던 인형극 워크숍도 그만두게 된 새버스는 고등학교 교사로 일하는 로즈애나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한 채 살아간다. 하지만 매더매스카폴스에서도 섹스에 대한 그의 탐닉은 계속되고, 그는 그곳에서 “생식기의 짝”이자 “가장 훌륭한 제자”, 쾌락과 섹스, 그리고 영혼의 “짝패”인 드렌카를 만난다. 크로아티아 출신 이민자로 남편과 함께 여관을 운영하는 드렌카 발리치와 새버스는 십 년이 넘는 세월 동안 내연 관계를 이어가며 서로의 “가장 필수적인 욕구”를 마음껏 풀어놓는다. 그러다 드렌카가 병으로 세상을 뜨자, 새버스는 오랫동안 철저하게 패배했다고 여겨온 인생의 위기를 맞이한다. 그리고 어느 날부터인가 그의 주위를 맴도는 어머니의 유령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이면서, 새버스는 자살이야말로 실패한 자신의 삶에 딱 맞는 결말이 아닐지 고민하기 시작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