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차
|
프로그램 주제
|
교육내용
|
일시
|
장소
|
강사명
|
진행방식
|
1
|
음악미학과
친해지기
|
우리는 왜 음악을 들을까요? 그리고 무엇이 음악을 ‘아름답다’고 느끼게 만들까요? 그 해답을 찾아, 낯설고도 매혹적인 음악미학의 세계로 첫걸음을 내딛습니다.
|
8월 20일
(수)
10:00~
13:00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
2
|
자아를 향한 여정 - 진은숙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나는 누구인가?” 꿈과 현실 사이, 앨리스의 여정은 우리에게도 자아를 묻습니다. 진은숙의 음악적 상상력이 만들어 낸 ‘이상한 나라’에서 존재와 정체성을 탐색합니다.
|
8월 27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문학작품 읽기
|
3
|
동서양의 패치워크 미학 – 이자람 <사천가>와 K-culture
|
익숙함과 낯섦,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질 때 새로운 문화가 탄생합니다. 창작 판소리 <사천가>를 통해 한국적 상상력의 세계화를 들여다봅니다.
|
9월 3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K-culture
(음악)
소개하기
|
4
|
기억과 역사의 재현 – 윤이상 <광주여 영원히>
|
과거는 사라지는 것일까요,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우리 곁에 머무는 걸까요? 음악이 단순한 추모를 넘어, 집단의 기억이 어떻게 문화 속에 각인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이 되는지 살펴봅니다.
|
9월 10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문학작품 읽기
|
5
|
어떻게 연주해야 할 것인가? -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과 연주미학
|
같은 악보라도 연주자는 각기 다른 울림을 만들어 냅니다. 그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요? ‘좋은 연주’란 과연 무엇인지, 연주와 미학의 만남을 탐색합니다.
|
9월 17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
6
|
우리는 왜 베토벤에게 열광하는가? -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과 수용미학
|
매년 연말이면 어김없이 무대에 오르는 베토벤의 <합창>. 사람들은 왜 이 곡에 열광할까요? 이 음악은 시대마다 어떻게 다르게 받아들여졌을까요? 음악을 듣는 ‘우리’의 역할을 중심에 두고 살펴봅니다.
|
9월 24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생성형 AI로 이미지 그리기
|
7
|
사회를 무대 위에 올리다 -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와 19세기 리얼리즘
|
오페라는 무대 위의 사회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음악에도 19세기 리얼리즘은 살아 숨 쉬고 있었습니다.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를 통해 유럽 사회의 변화와 갈등을 들여다봅니다.
|
10월 1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
8
|
문학과 음악의 만남 - 리스트의 교향시 <햄릿>과 표제음악
|
기악음악으로도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까요? 말이 없는 음악이 문학의 서사를 어떻게 품을 수 있을까요? 리스트의 <햄릿>을 중심으로 표제음악이라는 흥미로운 장르를 만나봅니다.
|
10월 15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문학작품 읽기
|
9
|
승화된 사랑을 노래하다 -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와 음악의 형이상학
|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 그 너머의 세계를 음악은 어떻게 노래할까요? 바그너의 걸작과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통해, 낭만주의 음악의 심연을 들여다봅니다.
|
10월 22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
10
|
20세기 모더니즘을 대표하다 -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피에로>와 현대음악의 미학
|
아름다운 선율 대신 낯선 소리와 때론 불편한 울림. 하지만 그 속에도 시대의 진실이 숨어 있습니다. 모더니즘 음악의 실험과 도전을 쇤베르크의 작품을 통해 체험해봅니다.
|
10월 29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글쓰기와 발표
|
11
|
투영과 발현 - 피그말리온과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
|
타인을 변화시키려는 욕망, 그 이면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요? 피그말리온 신화에서 뮤지컬까지, 타자에 투영된 자아와 창조의 욕망을 문화적으로 읽어봅니다.
|
11월 5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문학작품 읽기
|
12
|
AI 시대, 창의성과 천재성을 논하다!
- 인공지능 음악과 천재미학
|
인공지능이 작곡하는 시대, ‘창의성’과 ‘예술가의 천재성’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기술의 진보 속에서도 예술은 여전히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
11월 12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음악
작곡하기
|
13
|
'메멘토 모리' -
음악, 죽음을 노래하다
|
죽음은 인간이 가장 오래 이야기해온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음악은 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을 어떻게 표현해 왔을까요? 장르를 넘어, 삶과 죽음의 경계를 음악으로 마주합니다.
|
11월 19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감상 및 토론, 글쓰기와 발표
|
14
|
음악미학, 나의 삶을 담다
(후속모임)
|
13주간의 이어진 강연내용을 정리해보고 음악적 아름다움이 나의 삶의 순간들과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공유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
11월 26일
10:00~
13:00
(수)
|
교하
도서관
문화
강연실
|
우혜언
|
강의,
이야기 나눔
|